평소 트랜잭션을 사용하면서 ACID 특징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격리도 수준에 따라 나누어지고 수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다니 서버 개발자는 공부할 게 정말 많은 거 같다. 데이터베이스는 공부를 하면 할수록 매우 생소한 개념들이 나온다. 하지만 몇 번 읽어보면 이해가 가서 재밌다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트랜잭션 격리가 성공하는 정도의 측정값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 트랜잭션들의 고립의 정도를 나타내며 서로 다른 트랜잭션끼리 변경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허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ACID 특성 중 격리성(Isolation)이 완벽히 보장되려면 거의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성능이 매우 저하된다. 격리성은 격리 수준을 4단계로 나누어 격리성을 보장한다. 격리 수준 커밋 되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