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32

Error: error:1E08010C:DECODER routines::unsupported

Error: error:1E08010C:DECODER routines::unsupported 구글 계정 인증 과정 중 에러가 발생했다. sign, passphrase, rsaPadding 키워드를 보니 privateKey가 틀렸음을 직감했다. await doc.useServiceAccountAuth({ client_email: process.env.GOOGLE_CLIENT_EMAIL, private_key: process.env.GOOGLE_PRIVATE_KEY, }); 원본의 privateKey는 다음과 같다. process.env.GOOGLE_PRIVATE_KEY는 다음과 같다. \n 개행 키워드가 문자열로 취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던 거 같다. .env 파일에 값은 모두 문자열로 취급되므로 ..

기타/에러 2023.01.06

실전 프로젝트 마지막 주 차 회고

드디어 실전 프로젝트가 종료되었다! 8월 26일부터 10월 7일까지 6주간 정말 쉴 새 없이 달렸다. 프로젝트 시작 전엔 6주라는 기간이 참 짧은 거 같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뒤돌아보니 참으로 길었다. 이번 마지막 주도 하루하루 정신없이 보냈다. 팀원 모두 리더님을 중심으로 최종 프로젝트 발표에 들어갈 자료들을 준비했다. 그동안 작성했던 노션 페이지와 프로젝트 이슈들을 살펴보며 작성했던 내용들의 논리적 근거가 타당한지 틀린 부분은 없는지 점검하고 또 점검하였다. 이 과정에서 큰 문제는 없었지만 보충해야 할 부분들이 조금 있어 부족한 부분들을 채웠다. 다른 팀과 다르게 우리 팀은 수치 중심의 자료가 많아 발표 자료 페이지 수가 꾀나 많았다. 어떠한 성능적인 부분에 이슈가 발생하여 어떤 식으로 해결하여 어떻게..

기타/회고 2022.10.10

실전 프로젝트 5주 차 회고

5주 차가 끝났다. 저번 주 차까지 배포돼있는 서버에 에러를 처리하고 안정화 작업을 하였다. 주 초에 1차 유저 피드백을 토대로 개선해야 될 부분들을 개선하고 새롭게 추가된 1가지의 조회 기능을 마무리하였다. 최종 발표에 앞서 당분간 기능 추가될 계획이 없는 상태라 이번 주는 다른 주 차들에 비해 심리적 압박감이 조금 덜 한 상태로 진행할 수 있었다. 기존 기능에 대한 치명적인 에러도 없고 서버 인프라 구축도 어느 정도 해놓은 상태라 서비스 운영 안정기에 접어든 거 같다. 물론 2차 유저 피드백을 토대로 기존 기능들에 대한 개선과 인프라에 고도화를 시키려면 아직 해야 할 작업들이 많지만 공식적으로 최종 발표까지 가용할 수 있는 기간이 5일도 채 남지 않았으므로 무언가 새로운 걸 시도해야 할 시기는 아니라..

기타/회고 2022.10.03

Git Flow

Git Flow 브랜치 기능을 활용한 변경(버전) 이력 관리 전략이다. 크게 4가지 main / develop / feature / hotfix 브랜치를 생성 후 관리하는데 필요에 따라 improvement/* bugfix/*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사실 이론적인 부분만 알고 있을 경우 잘 와닿지 않았는데 최근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Git Flow를 사용해 버전을 관리 하였고 이 과정에서 왜 협업에 브랜치 전략이 중요한지 확실히 알게 되었다. Git Repository 구성 Upstream Remote Repository: 팀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최신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원격 저장소 Origin Remote Repository: Upstream 저장소를 Fork 한 원격 개인 저장소 Local Repos..

Nginx Reverse Proxy

프록시: https://thelapssql.tistory.com/113 nginx: https://thelapssql.tistory.com/117 Nginx 기본 설정 설치 sudo apt install nginx systemctl start nginx 시작 systemctl restart nginx 재시작 systemctl stop nginx 중지 service nginx status 상태 확인 ps aux --forest | grep nginx 프로세스 확인 nginx -t 설정 파일 문법 검사 마스터와 워커 프로세스 확인 ps aux --forest | grep nginx root 544 0.0 0.1 55200 1672 ? Ss 05:49 0:00 nginx: master process /usr/..

기타 2022.09.30

TIL 220602

TIL 220602 내부적으로 타입을 지원하지 않는 노드 라이브러리들이 많다. 그러므로 d.ts 파일을 생성하여 커스텀 타입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직 완벽하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 declare와 tsconfig에 옵션들에 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공부해야겠다. 모르는 개념이 나오면 차분하게 생각해야 하는데 이 문제로 이번엔 몇 시간을 붙잡고 있을까라는 분노가 먼저 차오른다. 에러는 괜히 발생하는 게 아닌 게 알면서도 버그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자바스크립트 환경에 익숙해져서 아직 적응이 안 되지만 어차피 타입스크립트를 한번 사용하면 쭉 타입스크립트만 사용할 수 있으니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침착하게 공부하자.

기타/회고 2022.06.02

TIL 220601

TIL 220601 오늘은 6월 1일이다. 오전에 투표와 운동을 하고 오후부터 공부했다. 어제 서버 설정과 폴더 구조를 잡았고 오늘은 시퀄라이즈를 통해 테이블을 만들었는데 기존 자바스크립트 환경에서는 sequelize-cli 명령어를 통해 간단하게 기본 틀을 만들 수 있었는데 타입스크립트 환경에서는 조금 달랐다. 기본적으로 시퀄라이즈는 내부적으로 타입을 지원하여 타입 시퀄라이즈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런타임 속성에 의존하므로 타입스크립트를 바로 사용할 수 없다. 모델 생성과 로직을 생성하려면 상당히 많은 수동 설정이 필요했다. 시퀄라이즈 공식 문서에 타입스크립트 관련 자료가 자세하게 나와있는 거 같지만 아직 공식 문서를 참고하여 공부하는 게 익숙하지 않아 설정하는데도 참 많은 시간이 걸..

기타/회고 2022.06.01

TIL 220530

TIL 220530 주말 동안 남아있던 타입스크립트 강의를 마무리하고 오늘부터 노드에 타입스크립트를 적용 한 간단한 토이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다. 기능으로는 회원가입 로그인 게시판정도 될 거 같다. 현재 타입스크립트는 4버전인데 참고할 만한 자료들은 대부분 3버전을 사용하고 있어 일단 3버전 사용 후 완성하고 나서 공식 문서를 참고해 4버전으로 리팩토링 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부하면서 유지 보수와 가독성이 좋지 않아도 서버는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번 생각했다.

기타/회고 2022.05.30